본문 바로가기
무료 vs 유료

네이버 시리즈 vs 리디북스 – 웹소설 어디서 보는 게 더 이득일까?

by 앱로그형 2025. 7. 17.
반응형

웹소설 어디서 보는 게 제일 싸고 편한지 고민돼?
네이버 시리즈랑 리디북스는 진짜 막상막하로 보이지만,
실제로 써보면 꽤 큰 차이가 있다.
오늘은 이 두 플랫폼의 무료 콘텐츠, UI, 가격 정책, 포인트/쿠폰 정책까지
직접 써보고 느낀 차이를 정리해본다.


🟢 1. 무료 콘텐츠 차이부터 꽤 크다

네이버 시리즈는 ‘기다리면 무료’가 많다.
하루에 1~2편씩 무료 오픈되는 구조인데,
웹툰처럼 매일 들어가야 다음 회차가 열리는 방식이다.
장점은 무료 회차가 많고, 단점은 중간에 끊기면 다시 처음부터 기다려야 함.

반면 리디북스는 ‘리디셀렉트’라는 정액제 서비스가 있어서,
월 9,900원으로 다양한 웹소설을 통째로 읽을 수 있는 구조가 있다.
단점은 최신 인기작은 제외된 경우가 많지만,
베스트셀러나 완결작은 오히려 리디가 더 강하다.


🟡 2. 결제 방식과 쿠폰/포인트 시스템

네이버 시리즈는 기본이 캐시 충전 + 쿠폰 사용.
매일 출석하면 포인트 쌓이고, 할인 쿠폰도 자주 풀린다.
특히 신작 런칭 때 무료 3~5화 + 쿠폰 조합하면 초반부는 거의 공짜로 읽을 수 있다.
단점은 쿠폰 유효기간이 짧고,
간혹 광고보면 1코인 주는 이벤트가 뜨긴 하지만 꾸준하진 않다.

리디북스는 ‘리디페이퍼’, ‘셀렉트’ 중심으로 운영되는데,
이벤트 쿠폰이 굉장히 공격적이다.
예를 들어 30% 전권 할인, 첫 구매 100% 포인트 백,
심지어 5일 이상 연속 출석하면 최대 5,000포인트까지 주기도 한다.
단점은 UI가 조금 복잡하고, 웹보단 앱에서만 제대로 기능이 돌아가는 경우가 있음.


🔵 3.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

네이버 시리즈는 네이버 계정 연동이라 접근성이 좋고,
웹 기반 UI가 간결해서 가볍게 보기엔 딱 좋다.
단점은 검색기능이 약하고, 완결작 찾기가 불편하다.

리디북스는 다크모드, 서재 정렬, 하이라이트 기능 등
읽는 경험 자체는 확실히 좋음.
특히 전자책 리더기(리디페이퍼)랑 연동되면 몰입감이 꽤 올라간다.


총정리: 이렇게 골라라

상황추천 플랫폼
출퇴근 시간에 무료 회차만 가볍게 보기 ✅ 네이버 시리즈
완결작 몰아보기 + 가성비 위주 ✅ 리디북스 (셀렉트 정액제 or 전권 할인)
 

개인적으로 난 네이버 시리즈는 신작 볼 때,
리디는 완결작 정주행할 때 쓴다.
두 개 다 무료 회차 체크만 잘하면 돈 거의 안 들고도 한 달 내내 읽을 수 있다.
요령만 알면 책값이 반으로 줄어드는 꿀팁이다.

반응형